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 글쓰기

게으름에 대한 생각

게으름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봤다. "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이라 칭한다.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게으름이라는 단어는 부지런하지 않은 태도로 빗대어 이야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게으름은 왜 생기는 걸까? 게으르지 않은 사람들은 어떤 행동을 하거나,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일까?

 

게으르지 않은 사람들을 보면, 절대 일이나, 행동을 뒤로 미루지 않고, 그날 바로 마무리한다. 또 여러 가지 일을 하되 정확한 우선순위를 정해 놓고 제일 중요한 일을 먼저 처리한다. 자기만의 명확한 기준이 있는 것이다.

 

게으른 사람들은 한 번에 2~3가지 이상의 일을 동시에 하며 일의 중요도에 따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일을 먼저 처리한다. 한 번에 많은 일을 동시에 처리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끝내는 경우가 다반사다.

 

왜 이들은 이렇게 다르게 행동하는 걸일까?

 

과정의 차이도 있는 듯하다. 게으르지 않은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지만, 결국 중요한 1가지 일을 먼저 완벽히 처리한다. 게으른 사람은 마치 자기가 멀티플레이어인 듯 더 많은 일을 하며 결국 1가지 일도 처리하지 못하고 일을 마무리한다.

 

또 다른 의미로 게으름이란 지쳤음, 지루함이란 의미로도 생각할 수 있는 거 아닐까? 열심히 많은 일을 하지만 일에 대한 보람도 없고, 어느 하나 제대로 처리된 게 없으니 결국 실패했다는 생각이 지배적인 게 아닐까?

 

게으름에서 못 벗어나는 사람의 패턴은 시도 - 잘못 - 실패로 인식 -포기로 진행되고,

 

게으름에서 벗어나는 사람의 패턴은 시도 -잘못 - 만회 가능한 실수로 인식 - 보완 - 재시도로 진행된다고 한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패턴과 비슷하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정확한 목적의식을 갖고 행동한다. 왜 이런 행동을 하고,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 말이다. 단계별 목표를 설정해 한 단계씩 앞으로 나아간다. 작은 시도를 통해 일의 성취감을 느끼고, 이를 통한 동기부여를 통해 다시 한 걸음 앞으로 나간다. 성공에 이를 때까지 말이다.

 

방향성이 없어서, 삶의 목적의식이 없어서 게으름에 빠질 수 있다. 무슨 일을 할지 방향성이 없으니 일에 우선순위가 생길 수 없다. 여러 가지 다양한 일을 생각 없이 동시에 하다 보니 결국 한 가지 일도 제대로 못하는 상황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게으름을 이겨내기 위해선,

 

삶의 큰 그림을 그리고 단계별 목표를 세워 한 걸음씩 성취해 나가야 한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말이다. 다양한 일을 동시에 하는 게 아니다. 우선순위도 결국 다양한 일 중에 중요한, 1가지 일을 완벽하게 먼저 처리해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정확한 목적의식,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 수동적으로 선택하지 말자. 내가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행동하자. 우리 모두 함께 시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