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 글쓰기

이것을 안해서 항상 계획에 실패한다.

우리는 누구나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운다. 2022년 새해도 벌써 8개월이나 지나갔다. 올해 초 우리가 세운 목표 중 몇 개를 달성했는가? 하던 일을 멈추고 5분만 생각해 보자.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아마 10개 중 1~2개 정도이거나, 아무것도 달성하지 못했을 확률도 클 것이다.

 

도대체 매 새해마다 우리들은 왜 같은 행동을 반복할까? 달성도 못할 여러 가지 계획을 세우는 일을 말이다. 많은 계획을 세우는 게 문제일까? 아님 달성할 시간이 부족해서 일까?

 

다들 분명 실패한 이유가 존재할 것이다. 자기자신의 문제가 아니라 분명 외부 상황에 의해 못 했다고 말이다. 친구, 가족, 직장 일 때문에 등등.. 외부 환경의 문제로 책임을 전가한다. 그래야 마음이 편하기 때문이다.(매년 똑같이 말이다.) 

 

혹, 주변에 매년 목표를 달성하는 지인이나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실행계획을 본 적이 있는가? 없다면 지금 바로 찾아보길 바란다. 요즘 유튜브만 봐도 바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한 번 찾아봐라. 지금의 나와 무엇이 다른지를 말이다.

 

아마 아무도 찾지 않을 것이기에... 내가 찾아봤다.

 

그들은 목표를 실행하고 달성하기 위해 우리와 다른 3가지 행동을 한다. 

 

첫째, 돈을 쓴다.

둘째, 데드라인을 설정한다.

셋째, 잘게 나눠서 실행한다.

 

다들 알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럼 먼저 10분 정도 생각해 보자. 위 3가지 방법을 어떻게 적용할지 말이다. 내가 먼저 유추해 봐야지만 설명을 들었을 때, 더 오래 기억에 남을 것이다.

 

첫째, 돈을 쓴다는 것은 뭘까? 말 그대로 목표달성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이다. 그것도 가능한 많이 말이다. 돈값을 하지 않으면, 우리 뇌는 고통을 느끼며, 손해를 보는 걸로 받아들인다. 우리 뇌의 본능을 이용해 돈을 써서 실행을 강화하는 것이다. (우리의 뇌는 손해 보는 걸 엄청나게 싫어한다)

 

예를 들면, 다이어트를 위해 헬스장을 등록한다. 한 일주일 정도는 열심히 갈 것이다. 그 후로는?? 아마 다들 알거라 생각한다. 더 이상 안간다는 것을 말이다. 그런데 퍼스널 트레이너(PT)를 3개월 동안 받는 받는다면? 그것도 200만 원의 거금을 들여서 말이다. 그럼 당연히 뇌는 손해를 극도로 싫어하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3개월 동안 열심히 나가 다이어트에 성공하게 될 것이다.

 

둘째, 데드라인 설정, 아마 의미는 알고 있을거라 생각한다. 목표 설정의 마감기간을 세우는 것이다. 내가 세운 목표에 마감기간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그냥 무기한 미루겠다는 말과 같다. 데드라인은 실행력의 생명이다. 아마 2번을 못해서 계획에 실패하는 사례가 99.9%가 아닐까 생각한다. 하지만 기간만 설정하면 안 된다. 데드라인에 1번(돈쓰기)을 적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그 기간 안에 달성을 못할시 친구에게 돈을 주기로 미리 약속을 한다거나, 다이어트 달성을 위해 프로필 촬영 스튜디오를 미리 예약해(약 50~80만 원), 실패하거나 약속을 어길 경우 "생돈"을 날리는 경우처럼 말이다. 특히 데드라인은 돈을 쓰는 것과 연관을 지으면 더욱 좋다.

 

셋째, 잘게 나눠서 한다는 것은 대부분 사람들은 계획을 한꺼번에 하려고 하거나 몰아서 하기 때문에 실패한다.

 

독서하기를 예로 들면, 하루에 한 권 읽기 또는 일주일에 4권 읽기 처럼 너무 많은 양을 한 번에 하려는 경우를 말한다. 오히려 하루에 10페이지 보기, 하루 30분 독서하기 등, 잘게 나눠서 실행하면 목표를 이루는데 더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무리하지 말고, 세부적으로 나눠서 해라. 미루는 것보다 안 하는 것보다 100배는 낫다.

 

 

다 알고 있는 이야기인가? 그래도 혹시 안하고 있는 행동을 체크해서 다시 실행해 보자.

2022년 남은 4개월 분명 몇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즉시 실행해 보자.